ChatGPT Pro 구독, 과연 돈값을 할까?
ChatGPT를 사용한 지 꽤 시간이 흘렀다. 처음에는 무료 버전과 Plus를 사용하다가 최근에 Pro로 업그레이드했다. Pro를 구독하면 최신 모델인 ChatGPT o1과 o1 pro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과연 Pro가 가격값을 하는지 그리고 각 모델의 차이가 어떤지 직접 테스트해 보았다.
같은 가계부 데이터, 다른 결과물
같은 가계부 데이터를 각 모델에 입력해 보고 분석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테스트는 단순히 수입과 지출 데이터를 입력하고 총합을 계산하고 분석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그러나 각 모델의 반응은 놀라울 정도로 차이가 컸다.
ChatGPT 4o : 기대 이하의 성능
가장 먼저 ChatGPT 4o를 테스트했다. 하지만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수입과 지출을 단순 합산하는 것도 제대로 하지 못했고 결괏값이 틀린 경우도 많았다. 단순한 데이터 계산조차 정확하지 않아 신뢰도가 떨어졌다. 4o는 단순한 글쓰기나 아이디어 정리에 적합하지 복잡한 분석에는 부족함이 많다.
ChatGPT o1 :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석
o1은 완전히 다른 결과를 보여줬다. 수입과 지출 합계를 정확하게 계산했으며 지출 항목별 분석과 남은 돈을 기준으로 저축 가능 금액까지 계산해 주었다.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느낌을 받았으며 가계부 정리를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라는 점이 확실했다.
유지니님, 1월 한 달간의 가계부를 꼼꼼하게 살펴봤어요! 아래에 총수입·총지출과 카테고리별 지출 내역, 그리고 간단한 분석과 조언을 정리해 드릴게요.
1. 1월 가계부 요약
1) 총수입(Total Income)
- 기자단 수입: 474,000원
- 급여(월급): 3,394,723원
- 상여금(보너스): 693,700원
- 이자 수입: 302,850원
- 블로그 수익(애드포스트): 123,894원
- 캐시백: 23,960원
▶ 합계: 5,013,127원
2) 총지출(Total Expense)
아래는 카테고리별 지출 총액이며, 뒤 괄호 안은 해당 카테고리가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 부채상환: 1,075,672원 (약 25.0%)
- 선물: 562,700원 (약 13.1%)
- 구독료: 337,226원 (약 7.8%)
- 외식비: 328,500원 (약 7.6%)
- 의료비: 305,450원 (약 7.1%)
- 세금: 277,520원 (약 6.4%)
- 주거비(전세대출이자): 250,617원 (약 5.8%)
- 쇼핑: 227,700원 (약 5.3%)
- 용돈(타인에게 준 용돈 등): 200,000원 (약 4.7%)
- 공과금(수도·전기·가스): 176,710원 (약 4.1%)
- 배달비: 104,930원 (약 2.4%)
- 저축(청약): 100,000원 (약 2.3%)
- 교통비: 92,750원 (약 2.2%)
- 주유비: 72,627원 (약 1.7%)
- 간식비: 59,780원 (약 1.4%)
- 보험료: 49,410원 (약 1.1%)
- 통신비(인터넷 등): 38,500원 (약 0.9%)
- 취미: 19,190원 (약 0.4%)
- 건강(상담 등): 16,000원 (약 0.4%)
- 식료품(우유 등): 4,000원 (약 0.1%)
▶ 합계: 4,299,282원
3) 이번 달 잔액(Net)
- 순자산 변화 = 총수입 5,013,127원 − 총지출 4,299,282원
- 결과: +713,845원 (흑자)
2. 지출 분석 & 특징
- 부채상환(약 25%)
- 자동차 할부금 및 기타 원리금 상환 등으로 보이는 큰 지출이에요. 이번 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 선물(약 13%)
- 업그레이드, 향수, 치킨, 케이크 등 지출액이 상당히 커요. 특별한 이벤트나 기념일이 많았던 달이라면 이해되지만, 추후 선물 지출을 조금 줄이면 가처분 소득이 늘어날 수 있어요.
- 구독료(약 7.8%)
- 챗GPT 관련 결제(1월에만 총 33,182원 + 304,044원)로 지출이 크게 잡혔네요. 이 부분은 필수 지출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요금제 조정 등)으로 아낄 수 있는지 검토해볼 수 있어요.
- 외식비(약 7.6%)
- 짜장면, 파스타, 저녁, 점심 등 자주 외식하신 편이네요. 그래도 이번 달엔 부채상환·선물·구독료 같은 큰 항목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4위에 머물렀지만, 월 30만 원대면 조금 높은 편이긴 합니다.
- 의료비(약 7.1%)
- 병원·약 구매가 여러 번 있었어요(약 30만 원). 건강 관련 지출이므로 불가피한 부분일 수 있지만, 급증한 원인이 있는지 체크해봐도 좋을 듯합니다.
- 세금 / 공과금 / 보험료
- 세금(27만여 원), 공과금(17만여 원), 보험료(약 5만 원)까지 합치면 50만 원 가까이 되네요. 미리 예산을 편성해두면 월마다 크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어요.
- 쇼핑(5.3%)
- 의류(약 147,000원), 이모티콘, 케이스 등으로 22만여 원을 사용하셨네요. 이 역시 큰 부담은 아니지만, 필요성을 따져가며 소비할 수 있으면 좋아요.
- 주거비(전세대출이자, 약 25만 원)
- 매달 정기적으로 나가는 지출로 보이므로 계속 모니터링하시면 되겠습니다.
- 기타
- 저축(청약) 10만 원, 용돈 20만 원 등 정기적·임시적 지출로 보이는데, 향후 저축 금액을 좀 더 늘릴 여력이 있는지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요.
3. 총평 & 개선 아이디어
- 월간 순자산은 플러스(+713,845원)
-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 한 달을 흑자로 마무리하셨어요. 축하드립니다!
- 특히 이번 달은 월급과 상여금, 그리고 기자단 활동, 블로그, 캐시백, 이자수입 등 다방면에서 소득이 들어와 든든합니다.
- 지출 상위 항목(부채상환·선물·구독료·외식비 등) 주의
- 부채상환은 미래에 대한 투자 개념이라 필요하지만, 선물·외식비·구독료 중 일부는 조절 가능성이 있어 보여요.
- “한 달 외식비 예산”을 미리 정하거나, 선물은 특별한 이벤트가 있을 때만 지출하는 식으로 조정하면 조금 더 알뜰하게 쓸 수 있어요.
- 특별지출 대비
- 의료비나 세금, 자동차세, 보험료 등 갑작스럽게 큰돈이 나가는 항목들은 미리 월별로 ‘예비비(긴급자금)’ 또는 ‘자동차 관련 적립금’을 마련해두면 한 번에 부담이 확 줄어들어요.
- 수입 구조를 꾸준히 유지·확대
- 기자단, 블로그, 캐시백, 이자수입 등 다양한 소득 파이프가 존재한다는 점은 매우 좋아요.
- 앞으로도 월급 이외의 추가 수익원을 잘 살려 가면, 지출이 많아져도 전체적인 자산 성장에는 긍정적입니다.
- 장기적 목표(ISA 계좌, ETF, 배당 재투자)와 병행
- 이미 청약 저축도 잘 유지 중이시고, ISA에 일정 금액을 모아 투자하실 계획이라 하셨죠?
- 월 저축액(10만 원)보다 조금 더 늘릴 수 있는지 검토해 보시면, 2025년 6,000만 원 모으기 목표에도 가까워질 거예요.
4. 요약 정리
- 이번 달 총수입: 5,013,127원
- 이번 달 총지출: 4,299,282원
- 월간 순수익(흑자): +713,845원
- 가장 지출이 큰 항목: 부채상환(약 107만 원), 선물(약 56만 원), 구독료(약 33만 원), 외식비(약 33만 원)
- 지출 개선 포인트:
- 선물·외식비·구독료 등 ‘조절 가능한 항목’을 적절히 예산화해보기
- 예비비·자동차 관련 지출(부채상환, 자동차세, 보험료 등) 사전계획
- 의료비와 같은 돌발성 지출에 대비한 비상금 마련
- 총평:
- 다양한 수입원 덕분에 월말 잔액이 플러스가 되었고, 부채도 조금씩 상환하며 미래에 대비하고 있어요.
- 지출 구성을 조금만 더 최적화한다면, 장기 목표(ISA 6,000만 원 달성 등) 달성이 훨씬 빨라질 거예요.
유지니님, 한 달 동안 수고 많으셨고 정말 잘 해내셨어요!
앞으로도 이렇게 꾸준히 기록하고 정리하면, 원하는 목표(ISA 가득 채우기, 부채 조기상환 등)도 빠르게 이루실 수 있을 거예요.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물어봐 주세요. 항상 응원하고 있을게요! 화이팅입니다.
ChatGPT o1 pro : o1보다 신중하지만 답답함도 존재
o1 pro는 기본적인 분석 능력은 o1과 동일했지만 답변을 생성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신중하게 고민하고 답을 도출하는 느낌이었지만 그 과정이 너무 길어져 답답함이 있었다. 속도와 효율을 고려하면 o1이 더 적절해 보였다.
유지니님 안녕하세요! 1월 한 달간의 가계부를 차근차근 분석해보았어요. 수입(유입)과 지출(유출), 그리고 카테고리별로 어떤 부분에서 많이 쓰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분석이 좀 길지만 하나씩 따라오시면 전체 흐름을 잘 파악하실 수 있을 거예요.
1. 총수입(유입) vs 총지출(유출)
(1) 총수입(유입)
- 기자단: 474,000원
- 급여: 3,394,723원
- 이자: 302,850원
- 캐시백: 23,960원
- 상여금: 693,700원
- 블로그(애드포스트): 123,894원
총합 = 474,000 + 3,394,723 + 302,850 + 23,960 + 693,700 + 123,894
= 5,013,127원
(2) 총지출(유출)
아래 표는 카테고리별 지출액을 큰 금액부터 순서대로 정리한 거예요.
순위 카테고리 지출액1 | 부채상환 | 1,075,672원 |
2 | 선물 | 562,700원 |
3 | 구독료 | 337,226원 |
4 | 외식비 | 328,500원 |
5 | 의료비 | 305,450원 |
6 | 세금 | 277,520원 |
7 | 주거비 | 250,617원 |
8 | 쇼핑 | 227,700원 |
9 | 용돈 | 200,000원 |
10 | 공과금 | 176,710원 |
11 | 배달비 | 104,930원 |
12 | 저축 | 100,000원 |
13 | 교통비 | 92,750원 |
14 | 주유비 | 72,627원 |
15 | 간식비 | 59,780원 |
16 | 보험료 | 49,410원 |
17 | 통신비 | 38,500원 |
18 | 취미 | 19,190원 |
19 | 건강 | 16,000원 |
20 | 식료품 | 4,000원 |
이 모든 지출을 합산하면,
총합 = 4,299,282원
(3) 최종 잔액 흐름(수입 - 지출)
- 수입 총합: 5,013,127원
- 지출 총합: 4,299,282원
- 수입 - 지출 = +713,845원
즉, 1월 한 달간 약 71만 원가량이 플러스(흑자)로 남은 상태예요. 축하드려요!
2. 카테고리별 세부 분석
(1) 지출 TOP 5
- 부채상환 (약 107만 5천 원)
- 자동차나 대출금 등에 대한 원리금/이자 상환 비중이 커 보이네요.
- 다만, 부채를 열심히 갚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는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선물 (약 56만 2천 원)
- 선물/업그레이드/치킨 등 다양한 항목으로 지출이 있었어요.
- 큰 선물(업그레이드 30만 원 등)로 인해 일시적인 고액 지출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구독료 (약 33만 7천 원)
- 챗지피티 구독료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보이네요(1월 중 결제액 30만 원+).
- 필요에 따라 플랜을 조정할 수 있으면 월 지출을 조금 줄일 수도 있어요.
- 외식비 (약 32만 8천 원)
- 점심, 저녁, 파스타, 짜장면 등 다양한 외식 내역이 보입니다.
- 가끔씩은 식비 절약 팁(도시락, 간단 요리 등)도 고려하시면 좋겠어요.
- 의료비 (약 30만 5천 원)
- 병원, 약 지출이 여러 번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 건강 상태 관리를 잘하셔서 의료비 부담을 낮추면 도움이 되겠어요.
이 외에도 세금(약 27만 7천 원), 주거비(약 25만 원), 쇼핑(약 22만 7천 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2) 수입 구조
- **급여(월급)**가 340만 원 정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상여금(약 69만 원), 기자단(약 47만 4천 원), 이자(약 30만 3천 원), 블로그(약 12만 4천 원) 등 다양하게 소득원이 있네요.
- 월급 이외에도 ‘기자단 활동’과 ‘블로그’로 부가수입을 얻고 계신 점이 인상적이에요.
- 한 달 총수입이 500만 원을 넘어서, 지출을 잘 조절한다면 안정적인 흑자를 유지할 수 있겠습니다.
3. 지출 관리 & 절약 팁
- 고액 지출(부채상환, 선물, 구독료) 관리
- 이미 부채를 열심히 상환 중이시니, 남은 기간과 이자율을 체크해보시고 한 달 상환액을 조정할 여지가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 선물이나 이벤트성 지출은 미리 예산을 잡아두면 큰 지출 충격을 줄일 수 있어요.
- 구독료(챗지피티 등)는 꼭 필요한지, 혹은 플랜 조정이 가능한지 정기적으로 점검해보면 좋아요.
- 외식비 & 간식비 점검
- 외식비가 32만 원 이상, 간식비가 6만 원 가까이 나갔어요.
- 한 달에 1~2회는 직접 요리 or 간단히 식사 준비를 해서 지출을 줄여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 ‘맛집 체험단 활동’을 하시니, 이를 잘 활용하여 본인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이는 전략도 고려해 보세요.
- 의료비 지출 모니터링
- 병원, 약값 지출이 반복적으로 큰 금액(30만 원 이상)이 잡혔어요.
- 정기 검진이나 상담을 통해 미리 건강 문제를 조절하면 의료비 지출을 조금 줄일 수 있습니다.
- 보험 보장 범위도 다시 한번 점검해 보세요(실비, 추가 특약 등).
- 필수 고정비(주거비, 공과금, 통신비 등) 관리
- 주거비(전세대출 이자), 공과금(가스·전기), 통신비 등은 매달 꼭 나가는 비용이므로, 절약 습관을 조금씩 들이면 장기적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 가스비나 전기료가 의외로 많이 나왔다면 에너지 절약 방법(난방 효율 관리, 간단한 방열재 부착 등)을 시도해볼 수 있어요.
- 여유 자금의 저축 & 투자
- 저축 10만 원 납입 내역이 보이지만, 1월에 순수익이 70만 원 이상 남았어요.
- 남는 돈 일부를 추가로 저축 또는 ETF 투자 등으로 굴려 보시면 1년 뒤 더 큰 재정적 보탬이 되겠어요.
4. 유지니님을 위한 종합 코멘트
- 이번 달은 **수입(약 501만 원)**이 **지출(약 430만 원)**을 훌쩍 넘어서, 결과적으로 +71만 원 가량을 저축할 수 있게 되셨어요!
- 지출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부분은 부채상환, 선물, 구독료, 외식비, 의료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부채 상환을 적극적으로 하시는 점은 장기적으로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선택이에요. 다만, 선물이나 구독료 등은 ‘꼭 필요한 지출’인지 한 번씩 점검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체험단, 블로그, 이자, 상여금 등 다양한 추가 수입원이 있다는 점이 정말 좋습니다. 월급 외의 수입 비중을 조금씩 더 늘려간다면 재무 목표(ISA 계좌 채우기, 내 집 마련 등)에도 한 발 더 빠르게 다가갈 수 있을 거예요.
5. 요약 및 정리
- 1월 총수입: 약 501만 3천 원
- 1월 총지출: 약 429만 9천 원
- 결과적으로: +71만 3천 원의 흑자
- 주요 지출 TOP 5:
- 부채상환(약 107만 원)
- 선물(약 56만 원)
- 구독료(약 33만 7천 원)
- 외식비(약 32만 8천 원)
- 의료비(약 30만 5천 원)
- 팁: 선물·외식·구독료처럼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한 지출을 점검하고, 남는 금액을 추가 저축/투자에 활용해 보세요.
유지니님, 1월 한 달 고생 많으셨고 가계부를 이렇게 꼼꼼히 기록하시는 것만으로도 이미 훌륭해요! 남은 금액 70여 만 원도 활용 계획 잘 세우셔서 2월에는 더 탄탄한 재정관리로 이어가실 수 있길 응원할게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불러주세요. 항상 화이팅이에요!
결론 : ChatGPT 4o는 글쓰기용, o1은 데이터 분석용
이번 테스트를 통해 ChatGPT 모델별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었다. 4o는 여전히 단순한 글짓기나 아이디어 정리에 적합하며 복잡한 데이터 처리는 어렵다. o1은 체계적인 분석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해 가계부 정리 같은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다. Pro 구독료가 아깝지 않다고 느낀 순간이었다.
'Chat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에 푹 빠진 이유 : AI 가챠의 매력과 활용법 (0) | 2025.02.13 |
---|---|
ChatGPT가 추천한 홍대 데이트 코스! 아침부터 밤까지 완벽 일정 (0) | 2025.02.13 |
ChatGPT로 노션 기록 아이디어 얻기 : 색다른 생산성 향상법 (1) | 2025.02.13 |
ChatGPT 프롬프트 잘 작성하는 방법, AI 활용의 핵심 스킬 (0) | 2025.02.12 |
ChatGPT 맞춤설정으로 나만의 AI 비서 만들기 (1) | 2025.02.10 |